News

우리나라 바이오·헬스 산업의
핵심인재를 육성합니다.

행사&세미나

  • 2025 KAIST 바이오벤쳐 엑셀러레이션 프로그램 공고
  • 관리자 |
  • 2025-02-16 19:42:53|
  • 134
 
 

대한민국 바이오 스타트업의 글로벌 성공을 지원합니다

프로그램 소개 About the Program
우리나라 바이오벤처 생태계에서 가장 취약한 고리인 바이오 벤처의 질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협업 플랫폼으로, 초기 바이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KAIST의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과 뛰어난 학생들, 업계 최고의 전문가들, 기존의 Venture Accelerator, VC를 비롯한 투자자들, 제약바이오 회사들 그리고 정부기관 및 지자체들을 연결하여 시너지를 만들어내는 혁신 지원 프로그램입니다.

참여 혜택 Key Benefits
  • 전문가 멘토링 약물 디자인, 비임상, 독성, CMC, RA, 사업개발 및 운영, 특허, 회계를 포함한 전 사업영역의 국내 최고 전문가들과 VC, 기타 투자자로부터 조언 제공
  • 사업 전략 & 계획 수립 KAIST Bio-MBA 학생들과 함께 사업 계획 수립
  • 투자 유치 기회 벤처캐피탈 및 투자 기관과의 연결 및 피칭(Pitching) 기회
  • 산업 네트워킹 엑셀러레이터, CRO, 제약·바이오 기업과 협력 기회

 ▶ 자문위원
  • 강지수, BNH Investment 전무, 이학박사; Venture Capitalist
  • 김도형, OnHill() 대표, 전노터스 창업자/대표이사, 비임상 개발 전문가
  • 김지현, 전 한국 Allergan 대표이사, Abbott Asia, Commercial Head; Commercial Operation 전문가
  • 김홍일, K Unicorn Partners 대표; Venture Capitalist
  • 김희경, KAIST 겸임교수, )삼성바이오에피스 전무; 규제관련 전문가
  • 박영철, AITOX 대표, 독성학 박사, 비임상 개발 전문가
  • 박준태, 보건산업진흥원 상임 컨설턴트, CMC RA 및 미 FDA 관련 업무 전문가
  • 이마세, 인벤티지랩 CTO, 전 동화약품연구소장, 약학박사; 신약개발 전문가
  • 이승주, 오름테라퓨틱 대표, 생화학박사, 신약개발 전문가
  • 그 외 변리사, 공인회계사, BD 전문가 등 기타 분야별 업계 최고 전문가

참여 대상 기업 Who Can Apply?
   제약, 바이오, 의료기기, 진단, 디지털 헬스케어, 생활 건강 분야 기업들 가운데 
  •
Series A 투자 유치를 계획 중인 초기 바이오 스타트업

  • 최근 Series A 투자를 받은 후 체계적인 성장 전략이 필요한 스타트업


프로그램 일정 Program Timeline
  • 228: 지원 마감
  37: 대상 기업 선정 (5개사 선발 예정)
  315: KAIST Bio-MBA 학생과 기업 매칭
  315- 425: 학생들과의 협업
  426: 중간 발표 및 전문가 피드백
  425- 530: 학생들과의 협업
  531: 최종 피칭 & VC Demo Day

지금 지원하세요! Apply Now

제출 가이드 (Submission Guidelines)
 •  제출 형식: PDF (10페이지 이내)
 
•  
마감 기한: 2025228

문의: kaistbim@kaist.ac.kr

웹사이트: https://bim.kaist.ac.kr/

KAIST BioVenture Acceleration Program과 함께 성공을 가속화하세요!
후원: KAIST 창업원, 한국 혁신의약품 컨소시엄, BNH Investment, K-Unicorn Investment, Genaxis,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, 충청북도, 청주시